본문 바로가기
Life

6월 민주항쟁 의의 및 사건 요약, 민주주의 정신 계승에 게으름 피우지 말자!

by 인포식신 2023. 6. 7.
728x90
반응형

6월 민주항쟁 의의 및 사건 요약

 

뜨거웠던, 한국 6월 민주항쟁 

6월 항쟁은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쟁취하고자 했던 아주 뜨거웠던 역사적 운동이었습니다.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정부 시위입니다.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대통령은 대통령 직선제를 보장하지 않는 호헌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반발하여 학생들과 시민들은 시위를 벌였고, 이 시위는 6월 10일 이한열 열사의 사망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6월 항쟁은 전두환 정권의 퇴진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

오늘날 우리가 마음 편하게 두 발을 뻗고 잠을 잘 청할 수 있는 것이 모두 이러한 민주화 운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6월 민주화 항쟁의 주요 사건들입니다. 

◆ 전두환 대통령의 호헌 조치
◆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 5·3 인천 사태
◆ 10·28 건국대 항쟁

728x90

6월 민주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으며, 그 민주화 노력에 대한 추모는 매년 전국적으로 추모식과 함께 많은 행사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6월 항쟁은 전두환 정권의 퇴진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일깨워주었습니다.

 

6월 민주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지만, 그에 따른 많은 희생자도 발생했습니다. 

신군부 전두환의 호헌 조치 

전두환 대통령의 호헌 조치는 1980년 12월 12일에 신군부가 발표한 헌법 개정안을 말합니다.

 

이 조치는 대통령의 임기를 6년에서 8년으로 연장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폐지하고 간선제로 바꾸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조치는 당연히 국민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으로 인해 무산되었습니다.

호헌 조치는 신군부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취한 조치였습니다.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신군부는 이후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의 임기를 8년으로 연장하고, 대통령 직선제를 폐지하고 간선제로 바꾸는 내용의 호헌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호헌 조치는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걸림돌이었습니다.

 

전두환이 이끄는 신군부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헌법을 개정하고 국민(민중)의 의사를 무시했습니다.

 

이로 인해 국민의 분노는 극도로 확대되었고, 결국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6월 민주화 항쟁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전환점이 되었고, 이후 한국은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고 민주화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반응형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인권 문제 부각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은 1986년 6월 6일과 7일에 노동 현장 위장 취업 혐의로 연행된 여학생에게 부천경찰서 경장이 성 고문을 가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1987년 6월 항쟁 후 재수사가 추진되어 가해자에 대해 징역 5년이 선고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당시 신군부 정권의 인권 탄압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국민의 분노가 커졌고, 결국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6월 민주화 항쟁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전환점이 되었고, 이후 한국은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고 민주화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은 한국의 인권 역사에 큰 아픔과 상처를 남긴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가 인권 문제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이었습니다.

서울대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1987년 1월 14일,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회장이던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으로 사망한 사건입니다.

 

박종철은 1987년 1월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던 중 고문을 당해 사망했습니다.

 

경찰은 박종철이 조사 도중 갑자기 사망했다고 발표했지만, 유족들은 박종철이 고문으로 사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6월 민주화 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은 전두환 정권의 인권 탄압을 고발하는 계기가 되었고, 6월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6월 항쟁은 전두환 정권의 퇴진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으로 이어졌으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한열 열사

연세대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망 

연세대학교 이한열 열사는 1962년 9월 29일 서울에서 태어나 1987년 6월 9일 서울 명동에서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입니다.

이한열 열사는 1985년 고려대학교에 입학한 후,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1987년 6월 10일, 서울 명동에서 열린 민주화 시위에 참가했는데, 이 과정에서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머리를 크게 다쳤습니다. 

 

이한열 열사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6월 9일 끝내 사망했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민주화 운동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었습니다. 

 

이한열 열사는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은 더욱 뜨거워졌으며, 민주화를 갈망하는 목소리와 행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1987년 6월 29일, 대한민국 정부는 이한열 열사의 죽음을 계기로 민주화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은 이한열 열사의 죽음을 계기로 더욱 발전하여,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습니다. 

 

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위한 큰 계기가 되었으며, 대한민국은 1987년 12월 16일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했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이한열 열사의 죽음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민주화 운동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었습니다. 

 

이한열 열사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으며, 그를 추모하는 행사는 오늘도 대학교 캠퍼스 및 그와 행동을 같이 했던 동문들 사이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건국대 항쟁

10·28 건국대 항쟁

10·28 건국대 항쟁은 1987년 10월 28일 서울 건국대학교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입니다. 

 

이 항쟁은 1987년 6월 항쟁의 여파로 일어났으며, 이한열 열사의 죽음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0·28 건국대 항쟁은 10월 28일 오후 6시경, 2천 여명이 넘는 대학생들이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 추모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추모 행사가 끝난 후, 학생들은 거리로 나와 시위를 벌였으며, 경찰과 밤새도록 대치하는 등 강도 높은 시위를 이어갔습니다.

 

10월 29일 오전 2시경,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를 사용하여 시위를 진압하기에 이르렀으며, 이 과정에서 14명이 부상당했으며, 3명이 구속되었습니다.

10·28 건국대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항쟁은 이한열 열사의 죽음을 계기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민주화 운동의 필요성을 일깨우고, 민주화 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를 이끌었습니다. 

 

10·28 건국대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6월 민주화 항쟁이 갖는 의의

6월 항쟁은 1987년 6월 10일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일어난 민주화 운동으로, 신군부 정권의 독재와 인권 탄압에 맞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뜨거운 열망이었습니다.

 

6월 항쟁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전환점이 되었고, 이후 한국은 대통령 직선제를 실시하고 민주화 국가로 발전할 수  주춧돌을 놓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대통령 직선제 실시 - 노태우의 6·29 선언 발표


* 인권의 신장 - 인권 탄압을 완화, 민주주의 개혁 추진 세력 등장 

 

* 민중의 힘 - 국민, 즉 민중의 땀과 피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사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

6월 항쟁은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의의를 가진 사건이며, 오늘날의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게 된 초석이 되었습니다.

 

그때 6월 민주항쟁은 오늘날 한국 사회가 민주주의를 위해 게으름을 피우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해 목숨을 바치신 열사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추모해야 합니다.

 

오는 6.10 민주 항쟁 기념일을 기점으로 오늘날 진정한 민주주의는 무엇인지 생각해볼 때입니다. 

728x90
반응형
※ 제휴배너 클릭시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립니다.

댓글